엔학고레의 교훈(삿15:14-20)
블레셋인들이 묶여 있는 삼손을 보고 환호한다. 그러나 하나님의 영이 그에게 임했다. 그를 묶은 밧줄이 불에 탄 삼베처럼 끊어진다. 삼손이 주변에 있던 나귀의 턱뼈를 들어 그들을 친다. 1000명을 죽였다. 그들을 무찌르고, 그곳을 라맛 레히(턱뼈의 언덕)라 불렀다. 그러나 지쳤다. 심하게 목이 말랐다. 여호와께 부르짖는다. “주께서 주의 종의 손으로 이렇게 큰 구원을 이루어 주셨습니다. 그런데 제가 지금 목말라 죽을 지경입니다. 제가 할례받지 않은 사람들의 손에 쓰러져야 되겠습니까?” 그러자 하나님께서 땅을 갈라 물이 솟아나오게 하셨다. 그곳을 엔학고레(부르짖는 사람의 샘)라 불렀다.
하나님을 향한 바른 신앙과 능력을 보여주시는 것 같다. 유다 백성들은 그를 블레셋에 내어주었다. 그러나 삼손은 선민으로서 바른 믿음을 가지고 있다. 많은 적들 앞에서도 두려움이 없었다. 그에게 성령으로 말미암아 아무도 꺾을 수 없는 능력이 나타났다. 나귀 턱뼈로 1000명을 죽였다. 그러나 그는 자기가 가벼운 도구로 그들을 죽였다고 자랑한다. 선민으로서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 모든 역사는 하나님이 하셨다고 고백했어야 했다. 그러나 지쳤을 때, 그는 잘못을 깨닫고 어린아이처럼 하나님을 찾는다. 선민인 내가 할례받지 못한 이방인들의 손에 죽을 수는 없지 않느냐고 외치며 하나님께 부르짖었다. 그의 요청에 하나님은 즉시 응하신다. 마치 그 기도를 기다렸다는 듯이 곧 샘을 열어서 그를 회복시키신디. 이것이 선민의 바른 신앙일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피조물이며 동시에 하나님께 선택받고 은혜를 입은 자녀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언제 어디서나 하나님을 의식하며 믿음으로 찾고 구해야 한다. 승리해도 자기 힘으로 이긴 줄 안다면 착각이며 죄와 죽음의 길에 들어선 것이다. 패배해도 하나님의 뜻을 구하며 수용해야 한다. 오늘 나는 내 안의 부패함과 연약함을 고백하며, 아버지의 은혜를 간절히 구하고 있는가? 과연 지금도 살아계시고 사랑하시며, 나의 모든 상황을 아시고 계획과 뜻을 가지고 계신 하늘 아버지를 나는 마음을 다해 믿고 의지하며 오늘을 살고 있는가?
은혜의 하나님, 한없이 부족하고 미천한 인생들을 품으시고 자녀로 세워 구원의 은혜를 베푸시는 하늘의 아버지께 감사와 찬양을 올립니다. 여전히 혼돈의 땅에서 곤고한 인생을 살아가지만 결국 아버지의 보호와 인도 아래 영생의 천국에 이를 것을 믿습니다. 오늘도 엔학고레의 축복을 경험하며 하늘 아버지를 찬양하기 원합니다. 말씀과 성령 안에서, 아버지를 찾고 믿는 자녀들의 승리를 알게 하소서. 매일 매 순간 우리를 위해 이 땅에 오신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의식하며, 그 나라와 의를 구하며 감사와 기쁨으로 충만하게 하소서, 사랑하시는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성경공부와 큐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번민하는 삼손, 실패의 교훈(삿16:15-22) (0) | 2021.09.09 |
---|---|
가사의 창녀, 소렉의 들릴라(삿16:1-14) (0) | 2021.09.08 |
유다 사람들은 삼손을 버렸으나...(삿15:1-13) (0) | 2021.09.06 |
다른 방식의 구원, 삼손...(삿13:15-25) (0) | 2021.09.03 |
삼손과 나실인 규례(삿13:1-14) (0) | 2021.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