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려움과 낮아짐으로 걷는 믿음의 길(행16:19-40)
두려움과 낮아짐으로 걷는 믿음의 길(행16:19-40)
여종이 있다. 귀신이 들었다. 점을 쳐서 주인들에게 돈을 벌어준다. 그녀가 바울을 따라다니며 외쳤다. “이 사람은 하나님의 거룩하신 종으로 구원의 길을 전하고 있다.” 바울은 심히 괴로워했다. 그녀에게 외친다.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말한다. 당장 그 아이에게서 나오라.” 귀신이 나갔다. 그녀는 점을 칠 수 없다. 주인들이 분노했다. 사람들을 선동해 바울을 고발했다. 매질을 당하고 옥에 갇혔다. 그러나 찬송하며 기뻐했다. 지진이 나고 옥문이 열렸다. 나가지 않았다. 놀란 간수와 가족들에게 전도했다. 다음날 이런 말을 한다. “우리가 로마 시민임에도 불구하고 저들이 재판도 없이 매질하고 옥에 가두었다. 이제 우리를 몰래 내보내려 하다니 그들이 직접 와서 우리를 데리고 나가라 하시오.”
로마 시민권자임을 밝혔으면 그는 매질도, 옥에 갇히지도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밝히지 않았다. 일부러 매를 맞고 갇혔다. 그러나 찬송하며 기뻐했다. 귀신이 그를 하나님의 거룩한 종이라 할 때는 괴로워했다. 이유는 무엇일까? 세상에서 명성과 인기를 얻고 높아지는 것이 귀신의 시험이며 덫이기 때문이다. 세상에서 높아지는 소원을 이루며 형통한 것이 사람들은 성공이며 구원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을 위해 우상을 세우며 환호한다. 보이지 않는 하나님과 천국에는 마음을 두지 않는다. 그러나 그 상태로는 영혼 구원의 복음을 전해도 소용이 없다. 육신의 왜곡된 믿음, 기복적 신앙을 강화할 뿐이다. 예수도 초기에는 자신이 그리스도임을 드러내지 말라고 하셨다. 사실 바울은 스스로 높아질 일이 생겼을 때 항상 더 낮아지는 고난을 택했다. 마음에 유혹을, 그리고 두려움을 느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일부러 자기를 쳐서 복종시켰다. 자신은 낮아지고 주는 높아져야 하기 때문이다. 남을 전도하기보다 먼저 자신이 구원에서 떨어져 나가지 않기 위한 것이다. 참된 예배는 세상에서 버림받고 낮아진 마음, 자기를 부인하는 자로서 창조주 앞에 서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보이는 세상에 의지하며 육신의 유익을 꿈꾼다. 스스로 선악을, 좋고 나쁨을 판단하며 들뜨기도 하고 원망하기도 한다. 그러나 믿음은 세상에서 시선을 돌려 하늘에 계신 주를 바라보는 것이다. 그는 모든 억울함과 분노, 원망을 버리고 감옥에서도 기도했다. 끝까지 주의 선하심을 찬양했다. 그처럼 믿음과 예배는 주님의 십자가에 연합하며 세상의 나를 부정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하늘에 계신 아버지께 온 마음을 드리며 그 영광을 체험한다. 그러나 오늘 우리도 여전히 세상과 육신의 복에 마음을 두고 예수를 믿는다. 혹시 귀신의 덫에 걸려 기뻐하며 자랑하는 것은 아닐까? 오늘도 바울처럼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를 밝히 보며 성령을 따라 그 뜻을 이룰 수 있기를 소원한다.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인자로 오신 예수의 십자가 사역을 통해 죄 사함과 구원을 허락하시며, 하나님을 하늘의 우리 아버지라 부르게 하시니 감사를 드립니다. 주님은 단번에 영원한 구원을 주셨으나 우리는 단번에 온전히 구원의 길을 따르지 못합니다. 끊임없이 사탄과 육체의 미혹에 흔들립니다. 소망과 인내로 믿음에 굳건히 머물라 하며 성령을 주신 것은 육체인 우리가 그만큼 약하고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바울처럼 두려움과 떨림으로 구원을 온전히 이루기 원합니다. 성령으로 이끄소서. 담대한 믿음으로 세상과 육체의 시험에 들지 않게 하소서, 다만 악에서 구원하소서. 끝까지 사랑하시는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