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오지 않는 탕자...(눅15:11-32)
돌아오지 않는 탕자...(눅15:11-32)
잃은 양과 드라크마 비유에 이어지는 탕자의 비유다. 이 비유들은 바리새인과 율법사들의 비난 때문에 그들에게 들려주시는 말씀이다. 그러므로 그들에 대한 비유라 할 수 있다. 돌아온 탕자의 형, 즉 맏아들을 그들에게 비유한 것이다. 그러므로 돌아오지 않는 탕자의 비유라 하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아버지는 그에게 말한다. “너는 나와 항상 같이 있지 않느냐? 또 내가 가진 모든 것이 네 것이다. 그러나 네 동생은 죽었다가 다시 살았고,,, 기뻐하며 잔치를 벌이는 것이 당연하다.” 아버지와 아들의 다른 마음을 생각한다.
아버지는 아들들을 사랑한다. 그러나 그들의 마음에는 아버지가 없다. 둘째 아들은 일찍 아버지 곁을 떠났다. 맏아들은 떠나지 않았다. 그러나 그의 마음에도 아버지는 없다. 아버지의 재산만이 있을 뿐이다. 그가 충성하는 것도 재산 때문이다. 아버지가 돌아가시면 모든 재산을 상속받을 것이다. 어쩌면 그는 아버지가 빨리 돌아가시기를 원하지 않았을까? 사실 그도 잃어버린 탕자이다. 동생이 돌아와 환대를 받는 것을 보고 불평과 원망을 드러낸다. 동생과 달리 집을 떠나지 않았고 충성했다. 그는 자기 소유에 집착한다. 아버지는 그 마음을 알기에, 내 것이 다 네 것이라 말한다. 그러나 아들의 마음에 아버지가 없기에 아버지의 주권과 그의 소유욕은 충돌할 수밖에 없다. 아버지의 마음에 그가 있듯이 그의 마음에 아버지가 있다면 어떤 충돌도 없을 것이다, 모든 상황에 감사와 기쁨으로 충만할 것이다. 그러나 그는 불평과 원망을 버릴 수 없다. 결국 그는 돌아올 가능성이 희박한 탕자이다. 바리새인들과 율법사들이 그렇다는 것이다. 오히려 세리와 죄인들이 아버지를 마음에 품고 돌아오기가 쉽다. 물론 둘째 아들도 아버지를 사랑해서 돌아온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는 이제 아버지를 더 깊이 알고 사랑하게 될 것이다. 세상에 대한 애착도 집착도 버리고, 그 마음은 천국에 이를 것이다. 오늘 나의 마음에는 하나님이 계신가? 하늘 아버지의 사랑에 응답하며 모든 것을 감사와 기쁨으로 받아들이는가? 과연 아버지의 사랑과 은혜를 누리고 있는가?
사랑하시는 아버지 하나님, 소유와 육신의 미혹에 빠져 하늘 아버지의 사랑과 은혜, 그 선하신 뜻을 깨닫지 못하는 인생을 긍휼히 여기심에 감사를 드립니다. 여전히 부족한 우리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공생애, 십자가와 부활의 사건으로 구원의 문을 열어주시고 인도하심을 믿습니다. 오늘도 그 사랑의 말씀을 들으며 십자가의 주님을 따라 마음을 돌이키기 원합니다. 믿음으로, 소망과 사랑으로 세상의 미혹을 이기게 하소서, 그 나라와 의를 구하며 하늘의 평강과 기쁨을 체험하게 하소서, 사랑하시는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