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한 계략과 신념은 어디에서 나오나(삼하16:15-23)
아히도벨이 치명적인 계략을 내놓았다. 반역의 성공을 위해서 그는 최선을 다한다. 다윗의 나라를 완전히 뒤집으려 한다. 압살롬에게 예루살렘에 남은 후궁들을 강간하라 권한다. 아들에게 아버지의 첩들을 범하라는 것이다. 패륜적 도발이다. 돌이킬 수 없는 반역이다. 그가 이처럼 독한 계략을 내놓는 이유는 무엇일까? 당시 사람들은 그가 내놓는 계획을 하나님께 받은 말씀처럼 여겼다고 성경은 기록한다. 성경 기자가 이렇게 기록하는 의미를 생각한다.
아히도벨은 영리한 사람이다. 최고의 모략가였다. 사람들은 그의 지혜와 판단을 칭송했다. 정확히 문제의 핵심을 찌르며 해결했기 때문이다. 그의 말이 하나님께서 특별히 그에게 주신 말씀이라고 여겨졌다. 다윗도 압살롬도 인정했다. 그는 이스라엘의 개국 공신으로 다윗을 섬겼었다. 그러나 일을 그만두고 고향에 내려갔다. 압살롬이 그를 불러내어 반역을 돕게 했다. 그러나 다윗의 참모였던 그가 왜 다윗을 버리고 압살롬의 반역을 도왔을까? 그는 밧세바의 할아버지였다고 한다(삼하11:3, 23:34). 만일 밧세바의 아버지와 아히도벨의 아들이 동일인이 맞다면 우리는 이 사건으로 교훈을 얻을 수 있다. 그가 다윗을 미워한 것은 다윗의 범죄 때문일 것이다. 아마도 그는 다윗이 밧세바를 간음하고 우리야를 죽인 사건으로 인해 크게 분노하며 낙향한 것이 아닐까? 그는 율법주의자였을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사람은 아니다. 자기 목적을 위해, 즉 자기가 믿는 정의를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사람이다. 영악한 사고와 판단, 신념의 모략가일 뿐이다. 사실 그는 하나님의 말씀이 아니라 공중권세 잡은 사탄의 말을 듣는 사람이다. 결국 그는 실패한다. 자기중심적인 악한 신념으로 스승 예수를 팔고 자살한 가룟 유다처럼 자살로 인생을 마감한다. 스스로 판단하며 주 하나님처럼 되려고 선악과를 취한 피조물의 종말을 드러낸다. 오늘 우리는 누구의 말을 듣는가? 하나님의 말씀과 사탄의 말을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 자기를 버리고 아버지의 뜻을 따라 십자가를 지신 그리스도 안에서 그 말씀을 들을 수 있다. 자기 부인, 즉 십자가의 복음을 생활화하는 청결한 마음만이 하나님을 만나며 그 말씀을 들을 것이다. 그러나 자기 주체성과 자기 의를 고집하는 육의 사람들은 공중권세 잡은 사탄의 말, 거짓된 위로와 미혹의 말들을 기뻐하며 들을 것이다. 오늘도 우리를 위해 십자가를 지신 주님 안에서 창조주 하나님의 말씀 듣기를 소원한다.
전능하신 주 하나님, 음모와 배신이 횡행하는 땅의 무능한 인생들에게 은혜와 진리의 말씀을 계시하시며 거룩한 나라, 영생의 길로 이끄시니 감사를 드립니다. 모든 나라와 권세와 영광이 오직 주께 있음을 고백합니다. 사람이 아무리 악한 계략을 세우고 열심을 다해도 주의 뜻을 이길 수는 없습니다. 오늘도 택하신 자녀들을 그리스도 예수의 십자가 복음으로 이끄시며 선하고 의로우신 말씀을 듣게 하소서. 그 말씀과 성령을 따라 하늘에서 세우신 뜻을 이루게 하소서. 부족하고 연약한 자녀들을 불쌍히 여기시고 긍휼을 베푸시며, 이 시대의 악한 신념, 음모와 계략들이 무산되게 하소서. 하늘 영광의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성경공부와 큐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전의 기회가 주어지다(삼하17:1-14) (0) | 2023.05.15 |
---|---|
요압이 압살롬을 죽였다(삼하18:16-23) (0) | 2023.05.15 |
시므이의 저주 앞에서...(삼하16:1-14) (0) | 2023.05.10 |
궤를 돌려보내고 기도하다(삼하15:24-37) . (0) | 2023.05.09 |
아들이 반란을 일으키다(삼하15:13-23) (0) | 2023.05.08 |